천둥호두 님의 블로그

개인사업을 하는 30대 아빠의 육아, 재테크 정보를 공유하는 블로그입니다. 개인사업자, 펌프, 재테크, 육아, 생활

  • 2025. 2. 27.

    by. 천둥호두

    목차

      펌프

      펌프는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액체를 이송하는 중요한 장비이며, 사용되는 액체의 특성에 따라 성능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인 물을 이송할 때와는 달리, 고온 액체, 높은 비중의 액체, 고점성액(High-Viscosity Fluid), 슬러리(Slurry), 펄프액(Pulp Suspension) 등 특수한 액체를 처리할 때는 펌프의 유량, 효율, 동력 소비량, 마모 등의 성능 요소가 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적절한 펌프 선정과 운용 방법을 적용하지 않으면 심각한 성능 저하와 유지보수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본 글에서는 특수액이 펌프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자세히 분석하고, 이를 최적화하기 위한 대응 방법을 제시하겠다.


      1. 고온 액체(High-Temperature Fluid)에 의한 펌프 성능 변화

      고온의 액체를 취급하는 경우, 펌프의 성능과 내구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고온 액체의 주요 특성은 점도 감소, 증기압 상승, 열팽창이며, 이러한 요소가 펌프에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

      1. 점도 감소로 인한 유량 증가 – 일반적으로 액체 온도가 상승하면 점도가 낮아져 펌프의 유량이 증가할 수 있다. 그러나 점도가 낮아진 액체는 내부 부품의 마찰력이 감소하여 캐비테이션(Cavitation)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다.
      2. 증기압 상승으로 인한 캐비테이션 위험 – 고온 액체는 증기압이 높아지면서 펌프 흡입부에서 쉽게 기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펌프의 **NPSH(Net Positive Suction Head, 순양정)**가 낮아져 캐비테이션이 발생하고, 이는 펌프의 효율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임펠러(Impeller) 및 내부 부품의 손상을 가속화한다.
      3. 열팽창으로 인한 구조적 영향 – 고온의 액체를 취급할 경우, 펌프 본체 및 내부 부품이 열팽창하여 축 정렬(Misalignment)이 틀어질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고온 대응 재질(스테인리스강, 세라믹 등)을 사용하고, 열응력(thermal stress)에 대한 설계를 고려해야 한다.

      대응 방안

      • 고온 액체 전용 펌프(고온용 원심펌프, 마그네틱 드라이브 펌프 등)를 사용
      • NPSH 여유량을 충분히 확보하여 캐비테이션 예방
      • 고온에서도 변형이 적은 재질(고강도 합금, 특수 코팅 적용) 사용

      2. 고비중 액체(High-Density Fluid)에 의한 펌프 성능 변화

      액체의 비중이 높아지면 펌프에 가해지는 부하가 증가하며, 펌프의 전력 소비 및 내구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고비중 액체란 비중(Specific Gravity, SG)이 물(1.0)보다 높은 액체를 의미하며, 대표적으로 산업용 화학액, 금속 용해액, 고농도 미네랄 용액 등이 있다.

      1. 펌프의 동력 소비 증가 – 펌프가 높은 비중의 액체를 이송할 경우, 동일한 유량에서도 추가적인 압력이 필요하므로 전동기의 부하가 증가하여 전력 소비량이 높아진다. 따라서 기존의 물 기준 펌프 설계를 적용하면 과부하로 인해 모터가 과열될 위험이 있다.
      2. 베어링과 샤프트에 가해지는 하중 증가 – 고비중 액체는 펌프 내부 회전체(임펠러, 샤프트 등)에 더 큰 부하를 가하며, 장기적으로 부품의 피로 파괴(Fatigue Failure) 위험이 증가한다.
      3. 유량 감소 및 효율 저하 – 고비중 액체는 중력의 영향을 더 많이 받기 때문에, 동일한 펌프에서 예상보다 유량이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

      대응 방안

      • 펌프 모터의 정격 출력(HP)을 충분히 확보
      • 임펠러와 샤프트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고강도 재질 사용
      • 설계 시 비중 보정계수를 고려하여 펌프 선정

      3. 고점성액(High-Viscosity Fluid)에 의한 펌프 성능 변화

      점성이 높은 액체(고점성액)는 일반적인 원심펌프에서 성능이 저하되며, 흐름 저항 증가, 마찰 손실 증가, 유량 감소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1. 유량 감소 및 압력 손실 증가 – 점성이 높을수록 내부 유동 저항이 증가하여 펌프의 토출량이 급격히 감소한다. 특히, 원심펌프의 경우 점성이 증가할수록 효율이 급격히 저하되므로, 고점성액은 주로 로브펌프, 기어펌프, 스크류펌프 등을 사용한다.
      2. 마찰로 인한 열 발생 증가 – 점성이 높은 액체는 펌프 내부에서 더 많은 마찰을 일으켜 운전 중 열이 많이 발생할 수 있다.
      3. 배관 내 흐름 문제 – 점성이 높으면 배관 내부에서 난류(Turbulent Flow) 대신 층류(Laminar Flow)로 흐르면서, 예상보다 높은 압력이 필요할 수 있다.

      대응 방안

      • 점도에 맞는 펌프(기어펌프, 로브펌프, 다이어프램펌프 등) 선택
      • 유체 온도를 약간 상승시켜 점도 조절
      • 압력 손실을 고려한 배관 설계 적용

      4. 슬러리(Slurry) 및 펄프액(Pulp Suspension)에 의한 펌프 성능 변화

      슬러리(미세 입자가 포함된 액체)와 펄프액(펄프 섬유가 포함된 액체)은 펌프 성능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1. 입자 침식(Erosion) 및 마모 증가 – 고형 입자가 포함된 액체는 펌프 내부 부품(임펠러, 배관, 샤프트 등)을 지속적으로 침식하여 마모를 가속화한다.
      2. 펌프 효율 저하 – 슬러리의 점도 및 밀도가 높아지면 유량과 효율이 감소한다.
      3. 막힘(Blockage) 발생 위험 – 펄프액처럼 섬유질이 포함된 액체는 펌프 내부에서 쉽게 엉켜 막힘을 유발할 수 있다.

      대응 방안

      • 내마모성 재질(고크롬 합금, 폴리우레탄 코팅 등) 적용
      • 큰 입자가 포함된 경우 오픈 임펠러 펌프 사용
      • 배관 내 슬러리 침적 방지를 위해 유속 조절

      🔎 결론

      특수액을 취급할 때는 온도, 비중, 점도, 고형물 함유 여부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펌프를 선정해야 한다. 이를 무시하면 성능 저하, 유지보수 비용 증가, 예상치 못한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특수 유체에 맞는 펌프 설계를 적용하여 안정적인 운전을 유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