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둥호두 님의 블로그

개인사업을 하는 30대 아빠의 육아, 재테크 정보를 공유하는 블로그입니다. 개인사업자, 펌프, 재테크, 육아, 생활

  • 2025. 3. 5.

    by. 천둥호두

    목차

      펌프 운행 시 발생하는 수충격 현상 – 개념, 원인, 영향 및 방지 대책

      수충격(Water Hammer)은 펌프 운행 시 발생할 수 있는 중요한 유체 역학적 현상 중 하나로, 시스템의 안전성과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급격한 유량 변화가 발생할 때 압력이 급상승하거나 급강하하면서 배관 및 펌프에 심각한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수충격 현상의 개념, 펌프 계통에서 발생하는 수충격의 원인, 수충격으로 인한 피해, 그리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와 해결책을 상세히 설명한다.


      1. 수충격(Water Hammer) 현상이란?

      수충격(수격 작용, Hydraulic Shock 또는 Water Hammer)은 배관 내에서 유체의 흐름이 갑자기 변화할 때 발생하는 압력파(Pressure Wave) 현상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유체가 높은 속도로 이동하다가 갑자기 멈추거나 속도가 변경되면 운동 에너지가 순간적으로 압력 에너지로 변환되면서 급격한 압력 상승과 충격파가 발생한다.

      이러한 충격파는 배관과 연결된 장비(밸브, 펌프, 피팅, 계기 등)에 강한 기계적 하중을 가하며, 반복적으로 발생할 경우 배관 파손, 펌프 손상, 시스템 불안정 등의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수충격은 주로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발생한다.

      • 펌프 기동 시: 갑작스러운 유속 증가로 인해 유체가 급격히 가속됨
      • 펌프 정지 시: 펌프가 멈추면서 흐르던 유체가 순간적으로 감속됨
      • 펌프 회전수 제어 시: 가변 속도 운전 시 유량 변화가 일정하지 않을 경우 발생
      • 밸브 개폐 시: 밸브가 빠르게 닫히거나 열릴 경우 급격한 압력 변화 발생

      배관 내 수충격 현상이 심할 경우 **금속 배관에서도 뚜렷한 충격음(“쿵” 소리)**이 들릴 정도로 강한 압력이 순간적으로 발생하며, 지속적으로 작용하면 배관 시스템의 피로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2. 펌프 계통에서 발생하는 수충격 현상

      (1) 펌프 기동 시 발생하는 수충격

      펌프를 기동하면 배관 내 정지 상태였던 유체가 순간적으로 가속되면서, 유체의 운동 에너지가 급격하게 변화하게 된다.

      • 펌프가 빠르게 기동할 경우, 배관 내 유체가 갑작스럽게 높은 속도로 이동하면서 초기 압력 상승과 난류가 발생한다.
      • 특히, 대형 펌프나 고유량 펌프에서는 이 충격이 배관과 피팅 부품에 강한 힘을 가하게 된다.
      • 수직 배관이 포함된 계통에서는 기동 초기에 공기 갇힘(Air Entrainment)과 캐비테이션(Cavitation) 문제가 함께 발생할 수도 있다.

      🔹 방지 대책

      • 소프트 스타트(Soft Start) 기법 적용: 펌프의 가속도를 서서히 증가시켜 유량 변화를 완만하게 조절
      • 플라이휠(Flywheel) 적용: 펌프 샤프트에 플라이휠을 설치하여 회전 속도를 점진적으로 증가
      • 밸브 개도 조절: 펌프 기동 후 유량이 안정될 때까지 방출 밸브를 서서히 개방

      (2) 펌프 정지 시 발생하는 수충격

      펌프가 갑자기 정지하면 흐르고 있던 유체가 급격히 감속되면서 순간적인 **부압(Underpressure)과 압력파(Pressure Wave)**가 발생하게 된다.

      • 펌프가 멈추면 배관 내부의 유체가 관성에 의해 계속 흐르려 하지만, 흐름이 차단되면서 순간적으로 압력이 급락한 후 반동 압력이 발생한다.
      • 압력 변화가 심한 경우 배관 내부의 공기가 갇히면서 **에어포켓(Air Pocket)**이 형성되고, 이는 유체 흐름을 불안정하게 만든다.
      • 배관이 길거나 고지대에서 유체가 하향 이동하는 경우, 펌프 정지 시 배관 내부의 유체가 역류하여 추가적인 충격을 유발할 수도 있다.

      🔹 방지 대책

      • 역류 방지 체크 밸브(Anti-Surge Check Valve) 설치
      • 펌프 정지 속도를 조절하는 감속 운전(Slow Stop) 적용
      • 공기 배출 밸브(Air Release Valve)로 에어포켓 제거

      (3) 펌프 회전수 제어 시 발생하는 수충격

      펌프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가변 속도 드라이브(VFD, Variable Frequency Drive) 시스템을 사용할 때도 수충격이 발생할 수 있다.

      • 속도를 급격하게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경우, 배관 내 유체의 운동 에너지가 순간적으로 변화하면서 압력 변동이 발생한다.
      • 주파수 변환 속도가 너무 빠르면 일정한 유량을 유지하기 어렵고, 일부 구간에서는 과도한 압력 상승이 나타날 수도 있다.

      🔹 방지 대책

      • 펌프 속도 변화를 점진적으로 수행하는 가변 속도 프로파일 적용
      • 배관 내부 압력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압력 센서 및 제어 시스템 설치

      (4) 밸브 개폐 시 발생하는 수충격

      밸브를 급격히 개폐할 경우 유체 흐름이 순간적으로 차단되거나 급격히 변화하면서 수충격이 발생할 수 있다.

      • 특히, 게이트 밸브, 버터플라이 밸브, 볼 밸브와 같은 장치는 빠르게 조작될 경우 큰 압력 변화를 초래한다.
      • 대형 배관 계통에서는 밸브가 빠르게 닫힐 경우, 압력이 급등하여 배관이 파손될 위험이 있다.

      🔹 방지 대책

      • 슬로우 클로징 밸브(Slow Closing Valve) 사용
      • 유량 제어용 스로틀 밸브(Throttling Valve) 적용

      3. 수충격으로 인한 피해

      수충격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면 다음과 같은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 배관 및 피팅 파손
      • 펌프 및 밸브의 조기 마모
      • 배관 내 공기 갇힘 현상으로 유량 불안정
      • 시설 전체의 운전 안정성 저하

      4. 수충격 방지 장치

      수충격을 방지하기 위해 여러 가지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 서지 탱크(Surge Tank): 배관 내 압력 변동을 흡수하는 탱크
      🔹 펄세이션 댐퍼(Pulsation Damper): 급격한 압력 변화를 완충
      🔹 체크 밸브(Check Valve): 역류 방지 및 충격 흡수
      🔹 압력 릴리프 밸브(Pressure Relief Valve): 과도한 압력 방출

       

      펌프 수충격작용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펌프 급정지후의 관내유속의 변화가 늦어지도록 하면 좋지만, 그 주된 목적이 압력의 이상저하에 있는지 또는 이상상승에 있는지에 따라 경감장치도 다르며 또한 여러가지 방법을 조합할 필요성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펌프 급정지후 펌프 토출라인에서의 부압 즉, 압력 강하를 방지하면 이상압력상승도 방지 할 수 있으므로, 부압발생의 방지가 수충격 작용에 의한 피해를 줄이는 최선의 방책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일반적인 펌프계의 경우 부압방지장치중 가장 효과적이라 할 수 있는 공기조(Air Chamber), One-Way Surge Tank,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5. 결론

      수충격은 펌프 운용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문제로, 이를 방지하지 않으면 장비 손상 및 시스템 불안정이 발생할 수 있다. 적절한 운전 방식과 방지 장치를 적용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펌프 운용을 유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