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둥호두 님의 블로그

개인사업을 하는 30대 아빠의 육아, 재테크 정보를 공유하는 블로그입니다. 개인사업자, 펌프, 재테크, 육아, 생활

  • 2025. 2. 23.

    by. 천둥호두

    목차

       

      펌프

      건물 내에서 급수, 배수, 난방, 소방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펌프 시스템은 안정적인 건물 운영을 위한 필수 설비이다. 그러나 지속적인 사용과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펌프는 고장이나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적절한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건물 내 급수 중단, 배수 문제, 화재 안전 위험 등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주요 고장 원인을 분석하고, 효과적인 해결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글에서는 건물 펌프의 대표적인 고장 원인과 이를 해결하는 실질적인 방법을 자세히 살펴본다.


      1. 펌프의 소음 및 진동 문제 – 균형 불량과 베어링 마모

      건물 펌프에서 발생하는 과도한 소음과 진동은 대표적인 고장 징후 중 하나로, 원인을 정확히 분석하고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펌프 수명 단축과 성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 임펠러(Impeller) 및 회전축 불균형: 펌프 내부의 임펠러가 마모되거나, 고르게 회전하지 못하면 소음과 진동이 심해질 수 있다.
      • 베어링 마모 및 윤활 부족: 베어링이 마모되거나, 윤활유가 부족하면 회전 부위에서 마찰이 증가하여 진동과 소음이 발생한다. (가장 빈번하다.)
      • 설치 불량 및 볼트 고정 문제: 펌프가 정확히 수평을 유지하지 않거나, 설치 시 볼트가 헐거워지면 진동이 커지고 소음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해결 방법

      정기적인 임펠러 및 회전축 점검: 불균형이 발견되면 교체하거나, 정밀하게 조정해야 한다.
      베어링 상태 점검 및 윤활유 보충: 주기적으로 윤활 작업을 수행하여 마찰을 줄이고, 베어링이 심하게 마모되었다면 즉시 교체해야 한다.
      펌프 설치 상태 점검: 기초부가 튼튼하게 고정되었는지 확인하고, 진동 방지 패드(댐퍼)를 추가 설치하여 진동을 줄일 수 있다.

      소음과 진동 문제를 해결하면 펌프의 안정성을 높이고, 장기적인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2. 펌프의 유량 저하 – 필터 막힘 및 배관 문제

      건물 내 급수 펌프나 배수 펌프의 유량이 감소하면 물 공급이 원활하지 않거나, 배수 불량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주로 필터 막힘, 배관 압력 이상, 펌프 내 공기 유입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

      • 흡입 필터 및 배관 내부 이물질 축적: 펌프의 흡입 필터가 막히거나 배관 내부에 스케일(석회질)이나 슬러지가 쌓이면 유량이 감소할 수 있다.
      • 흡입 배관 내 공기 유입(캐비테이션, Cavitation): 펌프 흡입구에 공기가 혼입되면 물의 흐름이 불안정해지고, 임펠러 내부에 기포가 형성되면서 성능이 저하된다.
      • 밸브 오작동 및 고장: 펌프 흡입구나 토출구의 밸브가 부분적으로 막히거나, 정상적으로 열리지 않을 경우 유량이 감소할 수 있다.

      해결 방법

      필터 및 배관 정기 청소: 흡입 필터를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필요 시 교체하여 이물질로 인한 유량 감소를 방지한다.
      펌프 내 공기 제거: 펌프 가동 전에 배관 내부의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공기 제거 밸브(Air Vent)를 설치하고, 흡입 배관의 밀봉 상태를 점검해야 한다.
      밸브 작동 상태 점검: 밸브가 정상적으로 개폐되는지 확인하고, 필요하면 교체하여 유량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해야 한다.

      이러한 조치를 통해 건물 내 급수 및 배수 문제를 예방하고, 펌프의 최적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3. 펌프의 과열 문제 – 모터 과부하 및 냉각 시스템 고장

      펌프 모터가 과열되면 펌프 시스템이 갑자기 멈추거나, 장기적으로 모터 손상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이는 주로 전기적 과부하, 냉각 시스템 이상, 윤활 부족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

      • 전압 불안정 및 과부하: 전력 공급이 불안정하거나, 부하가 예상보다 높으면 모터가 과열될 수 있다.
      • 결선 문제 : 결선이 잘못되어 있을 수 있다. 시운전때, 펌프 임펠라의 방향을 꼭 확인해봐야 한다. 역상일때 계속 모터를 돌리게 되면 과부하로 모터손상이 올 수 있다.
      • 냉각 시스템(팬 및 워터 쿨링) 고장: 펌프 모터에는 공기 냉각 팬 또는 **수냉 방식(워터 재킷)**이 적용되는데, 냉각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모터 온도가 상승한다.
      • 윤활 부족 및 마찰 증가: 윤활유가 부족하면 베어링과 모터 부품 간 마찰이 증가하여 열이 과도하게 발생할 수 있다.

      해결 방법

      전력 공급 상태 점검: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는지 확인하고, 과부하 보호 장치를 설치하여 전기적 손상을 방지한다.

       결선 문제: R,S,T 중 두 선의 결선을 바꿔줌으로써 쉽게 방향을 바꿀 수 있다.
      냉각 시스템 유지보수: 냉각 팬이나 워터 쿨링 시스템을 주기적으로 청소하고, 과열이 발생할 경우 냉각 장치를 보강한다.

      윤활유 보충 및 베어링 관리: 윤활 상태를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마찰이 증가하지 않도록 베어링을 교체해야 한다.

      과열 문제를 예방하면 펌프의 수명을 연장하고, 갑작스러운 가동 중단을 방지할 수 있다.


      4. 펌프의 작동 불량 – 전기적 문제 및 부품 고장

      펌프가 작동하지 않거나, 정상적으로 가동되지 않는 경우는 전기적 고장, 센서 이상, 내부 부품 마모 등의 문제에서 비롯될 수 있다.

      • 전원 공급 문제: 전기식 펌프의 경우 퓨즈 단선, 배선 문제, 릴레이 고장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 압력 센서 및 유량 센서 고장: 자동화된 펌프 시스템에서는 센서가 오작동하면 펌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 임펠러 손상 및 내부 부품 마모: 장시간 사용으로 인해 임펠러가 손상되거나, 내부 부품이 마모되면 정상적인 펌프 가동이 어려워진다.

      해결 방법

      전기 회로 점검: 전기 배선 상태를 점검하고, 퓨즈나 릴레이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해야 한다.
      센서 교체 및 조정: 압력 센서와 유량 센서를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이상이 있는 경우 교체해야 한다.
      임펠러 및 내부 부품 유지보수: 마모된 부품을 교체하고, 정기적으로 점검하여 장기적인 고장을 예방한다.

      정기적인 점검과 유지보수를 통해 펌프의 작동 불량을 사전에 방지하고, 건물 내 급수 및 배수 시스템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결론 – 철저한 유지보수와 사전 점검이 핵심

      건물 펌프의 고장은 소음, 유량 저하, 과열, 작동 불량 등의 형태로 나타나며,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유지보수와 예방 조치가 필수적이다.

      펌프 시스템의 신뢰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정기 점검, 필터 청소, 윤활 관리, 전기 시스템 점검 등을 철저히 수행해야 한다. 이를 통해 펌프의 수명을 연장하고, 갑작스러운 고장을 방지하며, 건물의 원활한 운영을 보장할 수 있다.

       

      부스터펌프 :  3달에 한 번 구리스 주입, 압력탱크 확인

      수중배수펌프 : 1달에 한 번 전원 넣다 빼기( 사용하지 않는 펌프도 운행시켜보기, 고착방지)

      소방펌프 : 소방점검이 있지만, 1달에 한 번 전원 넣다 빼기(고착방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