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자녀들의 재테크 계획은 어떻게 하시고 계신가요???
첫째때는 1. 일반통장 2. 적금통장 3.청약통장 이렇게 세가지를 만들어서 모았었는데요.
유튜브도 보고, 주변지인들에게 물어보니 가만히 통장에 넣어두는게 가장 적은 수익을 얻는다고 하더라구요.
그래서 결정한 것이 우리아이 이름으로 주식계좌를 개설해서 투자하는 것이었습니다.
주식도 잘모르는 제가 하나씩 하나씩 확인하면서 어떻게 모아가는지 같이 한 번 공부해 봤으면 좋겠습니다 .
일단 여기저기 찾아보니 자녀의 계좌를 이제 비대면으로도 계좌개설을 할 수 있다고 해서 찾아봤는데요!
제가 주거래통장이 국민은행인데! KB증권에서 비대면으로 개좌개설이 가능하다고 해서 얼른 시도해 보았습니다.
주거래은행이나 다른 곳도 있다면 찾아보시고 편한 곳에서 개설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런식으로 바로 뜨는데요, 비대면으로 우리 아이 계좌를 만들 수 있는데
우선 부모의 KB증권 계좌가 필요합니다.
다시 말씀 드리면,
- KB증권 앱에 들어가면 바로 배너가 보인다.
- 우리 아이 계좌 만들기 전에, 부모의 계좌 개설이 필요하다.
- 부모의 증권계좌 개설 후, 우리 아이 계좌 만들기 클릭을 한다.
- 위 오른족 사진과 같이, 가족관계증명서(자녀기준), 기본증명서(자녀기준,상세)가 필요하다.
- 가족관계증명서(자녀기준), 기본증명서(자녀기준,상세)는 인터넷에 '가족관계증명서 인터넷발급' 이라고 검색하면, 대법원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 사이트가 나오는데, 여기서 발급 가능하다!
https://efamily.scourt.go.kr/index.jsp
(대한민국 법원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
6. 가족관계증명서->(가족(자녀기준)/가족관계증명서/특정증명서(자녀,본인 둘체크) 주민등록번호 전부공개 / 국내기관제출 - 신청하기
7. 기본증명서->가족(자녀) / 특정증명서 / 친권특정후견 전부 / 등록기준지포함 / 전부공개 / 국내기관제출 - 신청하기
8. 가족관계증명서, 기본증명서를 발급받았다면 '정부24' 앱으로 들어가자!!!
9. 정부24 앱에 들어가서 간편, 공인, 금융 인증서를 통해 들어가면, 나의 민원 신청
현황과 전자증명서 등등 발급받았던 증명서를 확인 할 수 있다!
10. 가족관계증명서, 기본증명서를 클릭하여 보내기 눌러서~ 제출처에
기관명 -KB증권 을 검색! 후 보낸다 그러면 발행번호 나오는데 어디에 잘 적어
두거나 기억했다가 추후~ KB증권 앱에서 기입하여 자료제출시 사용한다!
11. KB증권 돌아와서 우리 아이 계좌 만들기 쭉쭉 진행
처음 하시는 분들은 힘들기도하고, 본인인증을 위해 여러번 사이트를 들락날락하실텐데 중간에 포기하지 마시고
끝까지 잘 마무리하셔서 자녀를 위한 주식 계좌 개설하기를 잘 마쳤으면 좋겠습니다.
본인 주식 계좌와 다르게 아이 계좌는 몇일 심사가 걸립니다. 그 점 인지하셔서 바로 생기지 않으니 조급해하지 마세요.
그리고 꼭! 비밀번호 설정하실 때는 본인(부모)의 계좌 비밀번호와 아이 계좌 비밀번호를 동일하게 하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다르게 설정하면 까먹게 되더라구요. 아이가 여럿이라면 더욱 그렇습니다.
어차피 부모가 직접 관리하는 주식 계좌이기 때문에 비밀번호를 통일해 주시면 까먹을 일 없이 잘 쓰실 수 있습니다.
아이의 계좌를 만들고 계좌에 이체할 생각을 하니 나중에 증여에 대한 문제도 생각 안할 수가 없는데요.
증여세 공제 한도는 미성년 자녀는 10년간 2000만 원까지 증여세가 면제됩니다. 만약 이 금액을 초과하면 세금이 부과됩니다. 따라서 계좌에 투자금을 넣기 전에 증여 한도를 고려하여 자금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저도 블로그를 다시 작성하면서 둘째아이 주식계좌를 개설해 봤는데요. 다시 해도 살짝 어렵네요.
우리 아이의 미래를 위한 경제적 기반을 마련할 방법 중 하나로 주식 계좌 개설을 해보았는데요. 제 주변도 그렇고 점점 많은 부모들이 빠르게 주식 계좌를 만드는 것 같더라구요. 자녀 명의로 주식 계좌를 개설하면 장기적인 자산 증식을 기대할 뿐만 아니라, 나중에 경제 교육의 기회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 같네요.
아이가 성인이 되었을때 자산이 크게 성장해 있을지, 기대하면서 단순하게 돈을 저축하는 것이 아닌 경제적인 개념과 부수적인 성장, 교육을 위한 발판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래서 투자 상품도 신중하게 선택해야 합니다. 위험한 투자를 줄이고, ETF(상장지수펀드)에 투자를 하려고 합니다.
우량주나, 적립식 투자 또한 알맞을 것 같네요. 요즘엔 미국 주식이 꾸준하게 우상향하는 것을 보면 미국S&P500 등에 투자하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장기적인 계획과 지속적인 공부밖에 답이 없을 것 같네요!
1. ETF(상장지수펀드)
ETF는 특정 지수(예: 코스피 200, 나스닥 100 등)의 움직임을 추종하는 펀드로, 주식처럼 증권 거래소에서 매매할 수 있는 상품입니다.
장점:
- 분산 투자: 한 주식에만 집중 투자하지 않고 다양한 주식에 분산 투자하므로, 개별 기업의 리스크를 줄일 수 있습니다.
- 장기 투자 적합성: ETF는 장기 투자 시 복리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상품 중 하나로, 아이의 계좌를 통해 꾸준히 투자하기에 적합합니다.
- 낮은 수수료: 일반 펀드보다 수수료가 저렴해 장기적으로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추천 예시:
- 국내 주식형 ETF: 타이거(TIGER) 코스피200 ETF, 코덱스(KODEX) 코스피200 ETF 등
- 글로벌 주식형 ETF: 타이거 미국 나스닥100 ETF, 코덱스 미국 S&P500 ETF 등
2. 우량주
우량주는 안정적인 실적과 배당을 자랑하는 대기업 주식입니다. 주식 시장에서 장기간에 걸쳐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는 기업의 주식은 자산 증식을 위한 안전한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장점:
- 안정성: 대기업은 경제 위기에도 상대적으로 견고한 성과를 내며, 주가 변동성이 적습니다.
- 배당 수익: 배당을 통해 정기적으로 이익을 받을 수 있어 장기 투자 시 추가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추천 예시:
- 국내 우량주: 삼성전자, 현대차, SK하이닉스 등
- 글로벌 우량주: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구글(알파벳) 등 TIP: 우량주는 주가가 낮아진 시점(조정기)을 활용해 분할 매수 전략을 적용하면 더 큰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3. 적립식 투자
적립식 투자는 매달 일정 금액을 정해 정기적으로 투자하는 방식으로, 투자 타이밍을 고민할 필요 없이 꾸준히 투자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장점:
- 평균 매입 단가 감소: 주가가 상승할 때는 적게 사고, 하락할 때는 더 많이 살 수 있어 평균 매입 단가를 낮출 수 있습니다.
- 복리 효과 극대화: 장기적으로 꾸준히 투자하면 복리 효과가 크게 나타납니다. 추천 방법:
- ETF나 우량주에 대해 매달 정해진 금액을 자동으로 투자하도록 설정하면 관리가 쉽습니다.
- 예를 들어, 매달 10만 원씩 나스닥100 ETF에 투자하거나, 삼성전자 주식을 정기적으로 매입하는 방식입니다.
보시는 분들도 틀린 부분이나 개선해야할 부분 있다면 댓글 남겨주시고, 좋은 정보가 있다면 댓글 통해서 나눔해주세요.
저도 더욱 찾아보고 공부하는 부모가 되겠습니다.
모두모두 행복하시고 우리 아이재테크도 성공하시길 기원합니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코인 투자시장의 변화 !! (0) 2025.01.21 비트코인 초보자를 위한 안전한 투자 방법 GOGOGO (0) 2025.01.20 2025년 청년내일채움공제, 청년과 기업의 상생을 위한 정책 (1) 2025.01.20 미국 트럼프 대통령과 미국 주식 (1) 2025.01.20 사회 초년생을 위한 월급 관리 가이드 !! (0) 2025.01.20 개인 신용점수 올리는 현실적인 방법 7가지 (2) 2025.01.20 30대를 위한 스마트 재테크 전략 : 경제적 자립을 위한 가이드 (0) 2025.01.20 20대를 위한 스마트 재테크 전략 : 적금부터 소액 투자까지 완벽 가이드! (0) 2025.01.19